다이어트 칼로리 줄이는 식습관!
다이어트 할때 가장 큰 유혹이 바로 음식이죠?
이만큼만 먹고 그만 먹어야지 하는 생각으로 음식을 먹는 사람은 많지 않지요.
다이어트엔 칼로리 섭취가 가장 중요한데요.
하루 권장 섭취 칼로리량은 성인을 기준으로 할때 남성은 2,500 kcal 여성2,000 kcal 입니다.
하지만 음식에 따른 칼로리를 무시할 수는 없죠 커피 하나가
밥 한 그릇의 칼로리보다 높기도 하고 칼로리가 높은 음식은,
이것저것 섭취하다 보면 하루 권장 칼로리를 넘기기 일쑤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다이어트 칼로리 줄이는 식습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침식사
아침 식사를 한후 커피를 마실 때에는 디도록 설탕이 덜 들어가게 해서 마십니다.
커피는 장단점이 많지만 단맛을 즐기신다면,
설탕보다는 단 맛을 내는 열매인 육두구(너트메그)를 첨가하는 방법이 좋고,
게피나 박하 등의 재료로 커피맛을 다르게 해서 드시는 것도 방법이 됩니다.
점심식사
점심 식사에는 칼로리가 낮은 샐러드를 많이 먹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샐러드는 혈압을 낮추는데 좋은 비타민이 많이 들어있고 당근에는 섬유질이 많아
다이어트에 효과적입니다.
저녁식사
저녁에는 되도록이면 삼겹살 파티는 삼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굳이 고기를 먹어야 한다면 오리 고기로 대체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답니다.
치킨집에 간다면 닭가슴살을 먹는 것이 좋은데, 닭가슴살에는 니코틴산, 엽산,
비타민 등이 풍부하기 때문에 칼로리를 줄이는 요령이 됩니다.
반찬을 먹을 때
젓가락으로 반찬 한 가지를 선택하더라도 칼로리를 생각해야 하는데요.
특히 제철 야채를 즐기는 것이 좋답니다.
다 자란 야채 중에는 향이 강한 것이 많은데 새싹 채소가 맛과 건강면에서는 더 좋아요.
과자를 먹을 때
먹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그릇에 담아 먹는 것이 좋습니다.
봉지에서 꺼내 먹게 되면 양 조절이 되지 않아 많이 먹게 되는데요.
과자가 어떤 사람에게는 식욕을 억제 시켜 칼로리를 적게 섭취할 수 있게도 하지만,
어떤사람에게는 칼로리의 양을 증가시켜 살을 찌게 하는 요인이 될수 있으니,
소량만 먹는것이 중요합니다.
음료수를 마실 때
탄산이 들어간 음료 보다는 과일을 갈아 만든 과일 주스가 좋습니다.
하루 한 컵 정도가 좋은데 과일주스는 주로 항산화 물질이 들어 있어,
혈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고 혈관이 이완되도록 도와줍니다.
또,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줄 뿐만 아니라 혈압을 낮춰 주기도 합니다.
현명한 채식
싱싱한 채소는 변비를 예방하고 피를 맑아지게 합니다.
채식을 실천하시기 귀찬더라도 습관이 되면 즐기게 될 지 모릅니다.
특히 콩은 단백질과 섬유질이 풍부하고 토마토는 칼로리가 낮고,
리코펜이 첨가되어 암과 심장병의 위험을 감소시켜 주는데 효과가 아주 뛰어납니다.
살빠지는 습관
음식을 먹을 때 처넌히 먹게 되면 섭취하는 음식의 양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소화도 도와주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습니다.
아침을 먹지 않고 하루에 두끼만 먹는 사람은 식사 간격이 멀어져,
다음 식사 때 과식을 할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아침 식사는 하루의 식사 리듬을 조절하고 과식을 방지해 주어,
체지방이 연소되기 쉬운 체질로 만들어 줍니다.
전철이나 버스에서 서있을 때 살짝 까치발을 해 줍니다.
쉬운 동작으로도 스트레칭 효과를 볼수 있고 다리 라인을 예쁘게 만들어 줍니다.
술 하나로도 칼로리가 높지만 안주와 같이 먹게 되기 때문에 살로 가기 쉬어요.
날씬한 배를 만들고 싶다면 술자리의 횟수를 줄여보는 것도 좋아요.
잠자기 3~4시간 전에 저녁식사를 하는 것이 좋답니다.
잠을 자는 시가는 체지방이 생성되는 시기이고,
늦게 먹거나 자기 전에 먹는 음식은 모두 자는 동안 체지방으로 쌓이게 됩니다.
'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지다이어트 방법, "술 금주와 운동!" (0) | 2014.01.24 |
---|---|
건포도다이어트 방법/ 건포도의 효능 (0) | 2014.01.23 |
[다이어트에 좋은 음식 새송이] 새송이버섯의 효능 (0) | 2014.01.17 |
샐러드 다이어트..... (0) | 2014.01.15 |
정준하 다이어트 효과 18kg 감량/ 정준하 다이어트 방법과 식단 (0) | 201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