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덩굴의 효능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제비과의 덩굴성 낙엽활엽수

학명 : Clematis tusca var. violacea

다른이름 : 금찬막, 제비종덩굴, 수염종덩굴, 종덩굴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중부 이북), 중국 동북부, 우수리, 아무리 등

꽃말 : 정의

크기 : 2.5m.

 

줄기는 덩굴손이 다른 물체를 감고 자란다.

덩굴로 자라며 줄기는 갈색이나 어린 가지에는 털이 있다.

 

그늘지고 습한 숲 속에서 자란다.

광선을 요하나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이 강하고 음지나 양지에서 모두 잘 자라나 내건성은 약하다.

부식질이 많은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종덩굴의 효능

 

잎은 마주나며 5~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난산 타원형으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에 약간의 털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몸이 2~4개로 얕게 갈라지기도 한다.

 

 

종덩굴의 효능

 

꽃은 ~8월에 자주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꽃자루가 나오고,

그 끝에 1송이씩 종모양의 꽃이 아래를 향해 달린다.

꽃부리는 반쯤 벌어지게 피는데,

4갈래로 가늘고 깊게 갈라져 날렵하게 뒤로 젖혀지며 표면은 매끄럽다.

 

 

종덩굴의 효능

 

열매는 9월에 수과로 익으며 누런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종자는 편평한 타원형이다.(국수발 같은 뿌리가 나 있다.)

 

이용, 관상용

약용, 뿌리 이용:(거풍습, 지통에 효능이 있고, 만성풍습성관절염의 치료제)

어린잎은 식용할 수는 있으나 종덩굴은 유독성식물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유사종

 

01. 검종덩굴: (C. fusca Turez.)

02. 요강나물: (C. fusca var. coreana Nakai)

03. 누른종덩굴: (C. chiisanensis Nakai)

04. 세잎종덩굴: (C. koreana Kom.)

05. 자주종덩굴: (C. ochotensis Poir)

06. 함북종덩굴: (C. sabtriterna Nakai)

 

덩굴식물로서 여름철에 소박한 종모양의 자주색 꽃이 피므로,

철망이나 간막이 같은 곳에 올려서 그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