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당나무의 효능
학명 : Viburnum sargentii koehne.
분류 :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관목.
원산지 : 한국, 중국, 일본 등
개화기 : 5~6월. (크기 : 3m.)
분포지 : 한국, 일본, 중국.
꽃말 :.......... "마음"..........
서식장소 : 내음성이 강하여 어느정도 그늘에서도 잘 자라나, 건조한 곳을 싫어한다.
백당나무는 전국에 분포하며 산이나 들의 습지에 자생하며,
키는 3m 내외의 낙엽활엽관목으로 번식은 "꺾꽃이"종자 번식한다.
약용으로 쓸때는 나무전체를 사용하며, 봄,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건조하여 사용한다.
백당나무의 효능
백당나무는 잎이 마주나며새의 발자욱 모양으로 끝이 3개로 갈라지는데,
양쪽 2개의 갈라진 조각은 밖으로 벌어지며 윗부분의 잎은 갈라지지 않는 것도 있다.
잎 가장자리에 약간의 톱니가있고 잎뒷면 맥위에 잔털이 나고 끝에 2개의 꿀샘이 있다.
백당나무의 효능
꽃은 5~6월에 흰색의 꽃이 줄기 끝에서 둥근접시 모양으로 납작하게 모여 달리며,
꽃의 가운데에 지름이 5~6mm의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갖춘 조그만 꽃들이 피고,
그 주위에 꽃잎이 다섯개로 갈라진 통꽃이 지름 3cm 정도의 중성화(中性花)로 핀다.
백당나무의 효능
열매는 둥글고 9월경에 붉은색으로 익어 겨울까지 달려있는데,
꽃보다 가을의 열매가 더 돋보인다.
열매는 핵과(核果)로서 둥글고 지름 8~10mm 정도의 붉게 익으며 악취가 난다.
백당나무의 효능
어린 가지에는 잔털이 있는데,
털이없는 종류를 민백당나무라고 한다.
모든꽃이 무성화(중성화)인 것을 불두화(佛頭花)라고 하여 절에서 심고있다.
또한 백당나무는 키가 높게 자라지 않고 꽃이 아름다우며,
작은 줄기들이 뿌리에서 부터 여러개로 퍼져 나오기 때문에 관상수로 안성맞춤이다.
백당나무의 재목은 예로부터 이쑤시개로 쓰였다.
약으로 쓸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주로, 운동계, 순환계 질환 등을 다스린다.)
백당나무의 효능
1. 관절염(關節炎),
잔가지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2. 관절통(關節痛),
잔가지나 잎 또는 꽃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7~10일 복용한다.
3. 옴(개선: 疥癬),
잔가지를 달여서 그 물에 4~5회 탕욕한다.
4. 종독(腫毒),
온포기를 진하게 달여서 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5. 진통(陣通),
잔가지나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6. 타박상(打搏傷),
온포기를 달여서 그 물을 10회 이상 환부에 바른다.
7. 통경(通經),
잔가지 6~8g을 1회분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8. 풍(風),
잔가지 7~8g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