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구릿대의 효능

153cm 2013. 5. 23. 09:30

 

구릿대의 효능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두해살이 또는 세해살이풀,

학명 : Angelica dahurica (Fisch.) Benth, et Hooker

일명 : 백지, 항백지, 대활, 향대활, 흥안백지, 독활, 토백지, 구리대, 굼배지

분류 : 미나리과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중국, 만주, 동부 시베리아, 일본

 

줄기는 곧게서며 높이 1~2m이고,

밑부분은 지름 7~8cm인데 윗부분에 잔털이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는 처음에는 녹색이다가 점차 적자색으로 변하는데 흰가루가 덮인다.

 

잎은 3개씩2~3회 깃골겹잎으로 많이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며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다.

잎의 뒷면은 흰색을 띠며 맥위와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윗부분의 잎은 작으며 잎집이 타원모양으로 굵어진다.

 

꽃은 흰색으로 6~8월에 피며,

20~40개의 산형꽃차례가 모여 겹산형 꽃차례를 이룬다.

총포는 없고 작은총포는 가늘며 작다.

화관은 작으며 꽃잎과 수술은 각각 5개이고 1개의 씨방이 있다.

 

열매는 분과로서 10월이면 익는데,

그 생김은 편평한 타원형이고 기부가 들어간다.

열매는 길이 8~9mm로서 뒷면의 능선이 맥처럼 가늘고 가장자리의 것은

날개모양이며 능선 사이에 1~2개, 합생면에 2~4개의 유관이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구릿대의 효능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 자생하며 주로 산골짜기의 냇가에서 자란다.

지역에따라 구리때, 구릿때, 백지, 구리대, 대활(大活), 흥안백지, 독활,

굼배지, 라고도 하나 이명은 지양하는 것이 좋겠다.

뿌리줄기의 겉은 토갈색으로 매우 굵으며 수염뿌리가 많이 내린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뿌리를 말려서 만든 생약을,

"백지(白芷),"라 하며 발한, 진정, 진통, 감기, 두통, 치통 등에 처방한다.

잎은 "백지엽(白芷葉),"이라 하여 약용으로 쓰인다.

 

 

 

구릿대의 효능

 

<본초강목>에서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구릿대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깊은 산골짜기와 개울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가을에 줄기가 나오지 않은 구릿대의 뿌리를 캐서,

꼭지와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물에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폐경, 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풍한을 없애고 혈을 잘 돌게하며,

고름을 없애고 새살이 잘 살아나게 하며 통증을 멈춘다.

 

<약리 실험>에서는,

진정작용, 진경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진정, 진경 작용은 "쿠마린성분"에 의하여 나타난다.

 

풍한두통, 치통, 비연, 유선염, 옹종, 창양, 대하, 장출혈, 치루 뱀에 물린데 등에 쓰인다.

신경통, 요통에도 쓸수있다.

 

하루 6~12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를 내거나 고제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에는,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약리학에서는,

유사 안젤리카산, 안젤리콜톡신, 휘발성 정유, 수지를 함유 하며

그 중 프란게니딘 성분이 주름을 방지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다듬는법은,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황정을 썰어서 각각등분하여 쪄서 황정을 버리고 햇볕에 말려서 사용하며

변비에 활용할때는 볶아서 사용하고, 하혈을 할때는 검게 구워서 사용한다.

 

<효능과 응용>에는,

짙옹, 산풍, 발한, 거담, 제습의 중요한 약이 됨으로

감기로 인한 두통, 오랜 편두통, 혈압이 높아 눈으로 출혈할때,

부녀자가 혈허해서 오는 어지럼증 등을 고쳐서 머리를 맑게 하며, 폐열, 코막힌데,

전신 관절이 쑤시고 이까지 아플때, 해수와 가래기침이 많이 나는 것을 치유하고,

요통을 멈추며, 이완성 괴양을 해소시키며 얼굴색을 윤택케 한다.

 

그러나 이생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된 치료가 비록 많기는하지만,

능히 혈기를 상하니, 많이 쓰거나 오래 쓰는것이, 마땅치 않으므로,

점차 감량 하여야 한다고<의종필독: 醫宗必讀>에 적고있다.

 

다음에 이생약의 배합례를 들어 본다면,

백지에 황백, 관중탄(貫中炭)을 배합하여 습열 대하를 치유하고,

백지에 웅황, 감초, 유향을 배합하여 모기에 물린데를 낫게하며

백지에 대황을 배합하여 모든 종독을 치유한다.

 

 

구릿대의 효능

 

동의보감에는,

백지가 얼굴빛을 곱게하고 기미와 주근깨 흉터를 없앤다고 나와 있어,

피부를 위한 처방에도 빠지지 않고 쓰고 있다.

 

1. 외감성으로 인한두통, 코막힘, 콧물이 연이어 나오는 증상.

2. 양명위경(陽明胃俓)에 작용하므로 위장 장애로 인한 미능골통(眉綾骨痛)및 치통 치료

 

3. 축농증으로 인한 두통의 치료율이 높다.

4. 풍한습이 원인이 되어 일어난 사자마비 및 안질환, 부인의 대하에도 유호

 

5. 소염, 배농 작용이 있어 창양, 종독, 피부궤양치료

6. 대장균, 이질균, 바이러스균, 녹농균등 억제

7. 동물의 연수 혈관 운동 중추, 호흡중추, 미주신경 및 척수부의 흥분작용

 

 

구릿대의 효능

 

8. 백전풍, 살갗에 흰 반점이 생기는 병증

9. 은설병,만성피부병으로,

홍반과 구진으로 인하여 피부 표면에 여러 층으로 된 백색비늘 가루가 생기는 병증

10. 관상동맥의 혈류량 촉진

 

11.두통치료에 유호

12. 물을 넣고 달인 액은 기능성 두통 치료에 탁월

13.백전풍과 피부병의 예방, 치료율을 높였고,

 

14. 은설병에 알코올 추출액으로 유호율을 높였다.

백지를 기름내서 얼굴에 바르면 얼굴빛을 부드럽게 하며,

얼굴에 기미와, 주근깨 흉터를 없앤다.

 

구릿대는 제철에 채취하여 보관해 놓고 두통등의 상비약이나

미용재로 활용한다면 화학제품과 좀더 멀어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