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비추의 효능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다년생 초본으로 20~40센치 정도 자라며 꽃은 7~8월에 연보라색으로 피고

여러 곳에서 만날수 있지만 음지가 있고 습한 곳에서 잘 자랍니다.

 

잎은 모두 근생엽으로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끝은 뽀족하며,

길이 10~20cm, 폭3.6cm정도로서 양면은 짙은 녹색으로 광택이 난다.

엽병은 길이 10~20cm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때로는 주름지며

측맥은 4~5쌍이고 밑부분이 점차 밑으로 흐르거나,

갑자기 좁아져서 흘러 엽병의 좁은 날개로 된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고 비스듬히 서며  3개로 갈라진다.

꽃은 자주빛으로 7~8월에피고 길이 5cm 안 팎이며 화경(花莖)은

길이 20~60cm이며 원추화서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달린다.

화관은 깔대기처럼 생기고 6개로 갈라져서 뒤로 젖혀진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비비추를 산옥잠화, 지부, 자부라고도 부릅니다. 

주로 봄철에 돋아 나오는 어린잎을 따서 우려낸 후 나물로 먹을수 있고

날것은 쌈으로나 셀러드로 무쳐 먹기도 하며, 국으로 끓여서 먹기도 합니다.

 

 

비비추의 효능

 

비비추는 인삼의 약효 성분인 사포닌이 들어있어,

한방에서는 결핵이나, 피부궤양, 치료에 널리 쓰이고 있다.

자옥잠은 조기(調氣), 화혈( 和血),보허(補虛)의 효능이 있다.

 

부녀허약(婦女虛弱), 홍백붕대(紅白崩帶), 적백대하(赤白帶下), 자궁출혈 등

유정(遺靖), 토혈, 기종(氣種), 인후종통(咽喉種統)을 치료한다.

 

자옥잠근은 이기(理氣), 보허(補虛), 화혈(和血), 지통(止痛)의 효능이 있다.

인후종통(咽喉種統), 치통, 위통, 혈붕(血崩), 대하(帶下), 옹저(癰疽), 나력을 치료한다.

 

자옥잠엽은 붕루대하(崩漏帶下), 위궤양(胃潰瘍)을 치료한다.

맛이 달고 찬 성질이며 독이 있다.

목이 붓고 아플때, 소변이 잘 안나올때, 화상을 입었을때 사용한다.

 

 

비비추의 효능

 

비비추는 많이 쓰는 약용, 식용, 관상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꽃이랍니다.

잎의 밑은 둥글거나 좁으며 끝은 날카롭게 생겼으며,

맛은 달면서 약간 쓴맛이 나고 기운은 따뜻하며 보통이다.

사포닌 성분이 있으며,

씨앗이나 식물체 전체를 한방이나 민간에서 이용되고 있답니다.

잎은 즙을 짜서 젓 앓이를 하거나 중이염을 앓을때 쓰이고 있습니다.

 

 

비비추의 효능

 

참비비추, 산옥잠화, 주걱비비추, 흰비비추 등 그 종류도 다양 합니다.

단 성숙해서 질긴 것은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식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여름에 주로 꽃을 피우는데, 종류마다 보랏빛 기운이 있는,

백색, 자주색, 등 갖가지 변화 있는 색깔을 띠고 있습니다.

 

비비추 나물을 먹으면 부인들이 허약하여 기운이 없는데 기운을 돋아주며

백대하증이나 적대하증에 좋으며 자궁출혈에 효능이 있으며

남자들의 정액이 힘없이 나오는 것을 막아주며 모든궤양에 효과가 좋습니다.

 

 

비비추의 효능

 

잎에서 추출한 기름은 만성피부궤양의 외용치료제로 많이 쓰이며,

잎은 대체적으로 가볍고 하늘은 뜻하고 양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를 다스리는

폐장과 심자으로 경락이 있어 음 체질인 사람에게 많이 쓰여집니다.

 

뿌리는 땅속에 있기 음을 의미를 하기 때문에,

신장에 들어가면 가을에 그 약효가 있으며 양체질인 사람에게 많이 사용됩니다.

 

 

비비추의 효능

 

비비추는 한여름이 되면 잎사귀 사이로 꽃대가 자라 나오고,

그 위로 새끼 손가락 길이쯤 되는,

길쭉한 깔대기 모양의 예쁜 꽃송이들이 차례차례 달립니다.

연보라색의 곱디고운 꽃송이들은 가장자리가 6갈래로 갈라지고,

그사이로 길게 뻗어 나온 수술과 암술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더욱 아름답습니다.

 

연한잎은 국거리, 쌈용, 묵나물로 이용한다.

철분과 비타민C를 함유하고 있어 고급 산채로 활용된다.

 

한방에서는 건위, 이뇨, 강장의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잎즙은 부스럼이나 여드름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꽃이 귀한 여름철에 꽃이 피고,

잎도 시원하게 보이므로 공원 등에 군식하며 사랑을 받을 식물이다.

 

,